피아노 독주회(리사이틀)

글쓰기
송윤진 피아노 독주회(리사이틀) 2025.7.16.19:30
세종체임버홀
송윤진 피아노 독주회기간 : 2025.07.16(수)장소 : 세종체임버홀시간 : 19:30러닝타임 : 90(인터미션 : 15분)관람연령 : 7세이상 관람 가능(2018년 이전 출생자)티켓 : 전석 2만원문의 : 지클레프 02-515-5123L.v.Beethoven(1770-1827)PianoSonataNo.4inE-flatMajor,Op.7I.AllegromoltoeconbrioII.LentocongranespressioneIII.AllegroIV.PocoAllegrettoegraziosoF.Chopin(1810-1849)BarcarolleinF-sharpMajor,Op.60IntermissionJ.Brahms(1833-1897)VariationsandFugueonaThemebyHändel,Op.24PIANIST송윤진피아니스트송윤진은서울대학교음악대학기악과피아노전공으로학사졸업후동대학원에서장학금을수여받으며석사학위를받았다.이후미국Syracuse대학교에서T.A.로활동하며석사학위를추가로취득하였고,세종대학교에서피아노교수학박사학위를받았다.또한,IndianaUniversityKodalySummerInstitute과정을수료했다.서울대학교춘계피아노연주회에서연주한것을비롯해LaurentianStringQuartet과SchumannPianoQuintet협연,SyracuseUniversityConcertoCompetiton에서우승하여SyracuseUnversityOrchestra와협연하는등기량을인정받았다.또한,세종ChamberEnsemble과BeethovenPianoConcertoNo.1을협연하였으며,세라믹팔레스홀에서의리사이틀,꿈의숲아트홀및예술의전당인춘아트홀에서4hands곡을연주하는등다양한무대에서활동하였다.박사과정중에는F.Chopin의PianoSonata에대한렉처리사이틀을시작으로<​​J.S.Bach의InventionNo.8>과<​​L.v.BeethovenPianoSonatainEflatMaj.Op.81a의III.DasWiedersehen:Vivacissimente>를주제로TeachingWorkshop을진행하며교육활동에도매진하였다.서울대학교음악대학원에서는‘AlexanderScriabin의피아노소나타제5번과제10번비교연구-화성을중심으로’의논문으로석사과정을마쳤고,교수학에관심을가지며세종대학교에서‘필립글래스의《피아노에튀드제1권,제2권》분석연구’의논문으로피아노교수학박사학위를취득하였다.이후이연구를바탕으로하여심화한‘필립글래스의<​​피아노에튀드>:리듬적측면분석과교수법적제안’이KCI등재학술지인<​​음악교수법연구2024년9월호>에게재되었다.부산여자대학교강사를역임했으며,현재는세종대학교세종콘서바토리겸임교수,송피아노스튜디오대표,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회원,나우피아노연구회회장으로활동하고있다.#피아노독주회 #피아노리사이틀 #송윤진피아노독주회 #송윤진피아노리사이틀 #피아니스트 #송윤진피아니스트 #2025피아노독주회 #음악공연정보
지유경 피아노 독주회(리사이틀)2025.8.27.19:30
예술의전당 리사이틀홀
지유경 피아노 독주회기간2025-08-27(수)시간19:30장소리사이틀홀입장연령초등학생 이상관람시간(분)100가격일반석 20,000원주최아르테위드주관아르테위드후원선화예술고등학교,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하노버 국립 음대 동문회문의070-8733-3933PROFILE피아니스트 지유경은 바로크부터 현대를 아우르는 폭넓은 레퍼토리, 작품에 대한 날카로운 해석력, 섬세한 카리스마로 주목받고 있는 연주자다.국제 무대에서 폭넓게 활동해온 지유경은 프랑스 오를레앙 국제콩쿠르에서 작곡가 진은숙이 후원하는 윤이상 특별상을 수상하며 국제 무대에서 현대음악 해석의 탁월함을 인정받았고, 클라라 하스킬 국제콩쿠르 파이널리스트로서 3개의 특별상 수상 및 포르투갈 산타 체칠리아 국제콩쿠르, 베르톨트 훔멜 콩쿠르 등에 입상했다. 또한 스위스 로잔 챔버 오케스트라, 모로코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하노버 챔버 오케스트라 등과 협연했고, 평단의 호평을 받은 솔로 데뷔 음반(GENUIN Classics, 2018)은 영국 BBC, 독일 BR, RBB, Deutschlandfunk Kultur 등의 라디오에서 소개됐을 뿐 아니라 부지앤훅스의 추천음반으로도 선정됐다.국내에서는 더하우스콘서트 초청 독주회, 올리비에 메시앙의 〈아기 예수를 바라보는 스무 개의 시선〉(일신프리즘콘서트 초청) 전곡 연주를 비롯, 예술의전당 리사이틀홀, 금호아트홀 연세, 세종문화회관 체임버홀, 통영국제음악당, 엘림아트센터 등에서 독주회를 열었으며, 참신한 독주회 프로그램과 연주력으로 월간 객석 2023년 〈올해 주목 받은 연주자&무대〉 솔로 부문에 선정됐다.지유경은 선화예고 수석 졸업, 서울대 최우등 졸업 후 독일 하노버국립음대에서 석사과정을 최고점으로 졸업했고, 최고연주자과정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하노버국립음대 강사, 니더작센주 학술문화부·하노버국립음대 공동 후원의 여성 교수 양성 프로그램인 도로테아 에르스레벤 프로그램 전임연구원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명지대 객원교수, 가천대, 성신여대, 중앙대, 한양대, 선화예고에 출강하고 있다.  지유경 피아노 독주회 2025. 08. 27. 19:30Programme  Uzong Choe (*1968)Prélude VII (2004)Prélude XXV Le miroir dans l’eau (2017)Maurice Ravel (1875-1937)MiroirsI NoctuellesII Oiseaux tristesIII Une barque sur l’océanIV Alborada del graciosoV La vallée des clochesOlivier Messiaen (1908-1992)Catalogue d’oiseauxII Le LoriotPrélude I La colombePrélude VI Cloches d'angoisses et larmes d'adieuTristan Murail (*1947)Cloches d'adieu, et un sourire... in memoriam Olivier Messiaen (1992)La Mandragore (1993)지유경 피아노 독주회(리사이틀)2025.8.27.19:30#피아노독주회 #피아노리사이틀 #지유경피아노독주회 #지유경피아노리사이틀 #피이니스트 #지유경피아니스트 #음악공연정보 #2025피아노독주회
유예지 피아노 독주회(리사이틀)2025.8.29.19:30
예술의전당인춘아트홀
유예지 피아노 독주회기간2025-08-29(금)시간19:30장소인춘아트홀입장연령초등학생 이상관람시간(분)90가격일반석 20,000원주최음악교육신문사후원덕원예술고등학교, 상명대학교, 맨하탄음악대학, 단국대학교 동문회문의02-549-4133, 1131 PROFILE아름다운 음색과 섬세한 터치로 관객들에게 깊은 감동을 선사하는 피아니스트 유예지는 덕원예술고등학교 및 상명대학교 음악대학을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 후 도미하여 맨하탄 음악대학(Manhattan School of Music Master) 피아노과 석사과정을 탁월한 성적으로 마쳤다. 귀국 후에도 학문적 탐구와 음악에 대한 열정이 끊이지 않았던 그녀는 단국대학교 피아노과 박사과정을 실기우수자로 입학하여 학위를 취득하며 전문연주자로서의 기반을 견고히 구축했다.일찍이 탁월한 연주 실력으로 주목받아온 유예지는 제7회 한독국제 문화교류회 국제음악콩쿠르 피아노 부문 전체대상, 제3회 베트남 호치민 국제음악 콩쿠르, 제20회 한음음악콩쿠르 1위, 제1회 General Trias 2020 국제콩쿠르 2위, 제4회 바루에코라, 제5회 코리아나 챔버 오케스트라, 제20회 월간 에듀클래식 전국음악콩쿠르 2위, 제1회 음악교육신문 콩쿠르(일산지사) 3위, 제6회 구리시향 전국 음악 콩쿠르, 제2회 세종오케스트라 전국 음악 콩쿠르, 2007 국제문화교류회 음악콩쿠르, 제9회 전국 에듀클래식 콩쿠르 동상 등 국내·외 유수의 콩쿠르에서 그 실력을 인정받으며 자신의 입지를 확고히 다져왔다.솔로이스트는 물론, 실내악 주자로서 국내·외 무대를 종횡무진하며 청중들과의 음악적 교감을 끊임없이 이어온 피아니스트 유예지는 세종문화회관에서의 귀국 독주회, 예술의전당에서의 독주회와 음악교육신문 초청 차세대 아티스트 콘서트, 구리시교향악단 “Vision Concert” 협연과 우인아트홀 및 맨하탄 음대 Miller Hall에서의 독주회 및 다수의 Chamber 연주로 뜨거운 호평을 받은 바 있으며, 2회에 걸친 월간 에듀클래식 초청 우수신인 음악회, 페리지홀 “Beethoven Piano Festival”, 뮤지우인클래시카 창단연주회 등에서 실내악 무대를 선보이며 관객들에게 감동을 안겨주었다. 그녀는 국내뿐만 아니라 폴란드 Szczecin Sala konvertowa hall에서의 피아노 듀오 연주를 비롯해 이탈리아 Music Fest Perugia, 독일 Euro Music Festival의 Wuppertal Class Concert, Halle Class Concert에 2011년부터 2013까지 3회 연속 참가하여 대중들에게 다채로운 무대를 선보이며 유럽 청중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뛰어난 스승들로부터 깊이 있는 가르침을 받은 피아니스트 유예지는 국내에서 김수현, 박지원, 변정은을 사사하였으며, 해외에서는 Inesa Sinkevich의 지도 아래 음악적 소양을 더욱 넓혀왔다. 연주자로서의 활동과 더불어 음악 교육자로서도 활발한 행보를 보이고 있는 그녀는 계원예술고등학교 강사를 비롯해 음악교육신문 및 다수 음악경연대회 심사위원을 역임하며 차세대 음악인들의 성장을 견인해왔다. 현재 단국대학교, 국립강릉원주대학교, 삼육대학교 평생교육원, 덕원예술고등학교, 고양예술고등학교에서 재직중인 유예지는 피아노 실기강사 뿐만 아니라 음악이론 등 다양한 교육 현장에서 후학 양성에 힘쓰고 있다. 또한 강원음악소사이어티 소속으로 활동중인 그녀는 교육자와 연주자라는 두 영역을 넘나들며 균형 잡힌 음악 활동으로 무대 위에서 관객들과 진솔한 소통을 나누며 피아노 음악의 진정한 가치와 아름다움을 전파하는 음악 전도사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해나가고 있다.PROGRAMR. Schumann - Kinderszenen Op. 15F. Kreisler / S. Rachmaninoff - Liebesleid, LiebesfreudF. Chopin - Ballade No. 1 in g minor, Op. 23F. Chopin - Sonata No. 2 in b♭ minor, Op. 35#피아노독주회 #피아노리사이틀 #유예지피아노독주회 #유예지피아노리사이틀 #피아니스트 #유예지피아니스트 #음악공연정보 #2025피아노독주회
박종화 피아노 독주회(리사이틀)2025.7.8.19:30
예술의전당인춘아트홀
장르탐구시리즈 II. 변주곡박종화 피아노 독주회기간2025-07-18(금)시간19:30장소인춘아트홀입장연령초등학생 이상관람시간(분)90가격일반석 20,000원주최인터뮤직문의02-2235-895*박종화 피아노 독주회'장르탐구시리즈 II. Variation' ~ 한 음, 한 음을 넘어서 ‘형식’ 그 자체를 탐구하는 여정피아니스트 박종화가 선보이는 장르탐구시리즈의 이번 주제는 변주곡이다. 변주곡은 단순한 장식이 아닌, 하나의 주제가 시대, 양식, 감정, 사고를 통해 어떻게 확장되고 재창조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형식이다. 이번 무대에서는 고전부터 낭만에 이르기까지, 시대를 대표하는 작곡가들의 걸작 변주곡들을 통해 변화의 미학과 구성의 지혜를 만나게 된다. 모차르트의 우아한 오페라 아리아를 바탕으로 한 변주곡(K.455)과 베토벤이 ‘영웅’교향곡의 주제를 미리 예고하고 쓴 기념비적인 Op. 35, 헨델의 고전적 무곡의 정수를 담은 하프시코드 모음곡 HWV 434, 그리고 이 모든 전통을 계승하고 집대성한 브람스의 ‘헨델 주제에 의한 변주곡과 푸가(Op.24)까지, 각 작품은 단순한 변주의 반복을 넘어, 작곡가의 정신과 감성, 시대의 미학을 고스란히 담아낸다. 박종화는 이 시리즈를 통해 피아노 음악의 다양한 장르를 심도 있게 탐구하며, 학구적이면서도 감성적인 연주로 독창적인 음악세계를 확장해왔다. 한 곡의 주제가 펼쳐내는 수십 가지의 이야기, 그 음악적 여행이 될 것이다.*ProgramWolfgang Amadeus Mozart12 Variations on 'Je suis Lindor' in E-flat Major, K. 455Ludwig van Beethoven15 Variations and a Fugue in E-flat Major, Op. 35 "Eroica Variations" INTERMISSIONGeorge Frideric HandelHarpsichord Suite No. 1 in B-flat Major, HWV 434I. PreludeII. SonataIII Air and VariationsIV. MinuetJohannes BrahmsVariations and Fugue on a Theme by Handel, Op. 24*Profile Pianist 박종화 (Jong Hwa Park)“학구적이면서도 자유로운, 넘치지도 모자라지도 않는 정서적 표현으로 가득찬 연주” - 「월간 음악저널」 “피아니스트 박종화의 장르탐구 시리즈-수려한 테크닉의 비르투오조, 명쾌한 작품해석, 그리고 로맨티시즘의 실현” 「신진예술가 AYAF 워크북」빈틈없는 작품 해석과 다채로운 음색의 향연으로 수준 높은 연주를 보여주고 있는 피아니스트 박종화는 2010년 귀국 독주회부터 ‘피아니스트 박종화의 장르탐구 시리즈’로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선정 신진예술가 피아노 부문에 선정되었으며, 4회의 독주회 경비를 전액 지원받으며 우수활동 사업으로 뽑히기도 했다. 또한 그녀는 장애인을 위한 음악 활동을 계속하는 피아니스트로 (사)국제 스페셜 뮤직앤아트 페스티벌의 지도교수로 활동하며 모든 독주회의 수익금 전부를 페스티벌 단체에 기부하고 있다. (2012년에는 아프리카 교육 NGO 단체인 HoE에 기부) 이후, 서울문화재단 예술지원 사업에 선정되어 2년 동안 독주회 4회를 지원받아 성공적으로 개최하며 다양한 기획 연주 안에서 꾸준히 연주력을 높이는 계기로 삼았다. 피아니스트 박종화는 예원학교, 서울예고를 수석 졸업하고 서울대 음대 기악과를 수석으로 졸업한 후 도미하였다. 미국 이스트만 음대를 피아노 연주 및 문헌 석사를 전액 장학생으로 취득하였고, 박사학위도 전액 장학생으로 졸업하였다. 서울대 재학 시 성적 우수 우등 전액 장학금을 비롯하여, 주미 한국 대사관에서 선정하는 재미 우수학생 장학금, Kathleen Finucane Strokosh Scholarship, Avis D. Vaugan Scholarship, Professional Development Fund, Janet & William Schwartz Scholarship Award등을 수상하였다. 교수법에 대한 관심으로 인해 서울대에서 중등 음악교사 자격증을 취득하였다. 또한 유학 후에도 박사과정에서 부전공으로 음악이론과 피아노 교수법과 반주 및 실내악을 더하여 졸업하였다. 박사과정 동안 이스트만 음대에서 피아노 부전공 개인 지도 담당 강사로 있으면서 2008년에는 Blue Lake Fine Arts Camp에 피아노과 지도 교수로 초청되었다. 음연콩쿠르 1위, 한국피아노학회콩쿠르 1위, 한-독 브람스협회콩쿠르 1위, 틴에이저콩쿠르 2위, 삼익콩쿠르 1위없는 2위, LA International Liszt Concerto Competition 1위, Augustana-Lee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대상 등 유수의 국내 및 국제 콩쿠르에서 그 실력을 인정받았다.귀국 후, 후학앙성에도 열의를 가지고 서울대, 연세대, 국민대, 순천대, 전남대, 장로회신학대, 백석예술대, 호남신학대, LG생활건강 뮤직아카데미 강사, 고양예고, 인천예고, 경기예고 강사를 역임한 그녀는 현재 예원학교, 서울예고, 선화예중고, 계원예중고, 덕원예고에 출강하고 있다. 또한, 국내외 유수 저명 콩쿠르들의 심사위원과 마스터클래스, 캠프의 교수진으로 초청되어 활동중이고, AYAF Ensemble, 앙상블 Creo 멤버로도 활발히 연주하고 있다.#피아노독주회 #피아노리사이틀 #박종화피아노독주회 #박종화피아노리사이틀 #피아니스트 #박종화피아니스트 #음악공연정보
문미선 피아노 독주회
예술의전당인춘아트홀
문미선 피아노 독주회기간2025-07-17(목)시간19:30장소인춘아트홀입장연령초등학생 이상관람시간(분)70가격일반석 30,000원주최CLASSICO후원영국왕립음악원, 인디애나주립대학교, 미시간주립대학교 동문회문의클라시코예술기획 02)775-8600Profile깊이 있는 음악적 해석과 섬세한 감정이 돋보이는 연주로 호평을 받고 있는 피아니스트 문미선 은 4살 때 피아노를 시작하여 17살 때 뉴욕 멀킨홀에서 New Jersey State Orchestra와 협연하며 데뷔하였다.2004년 인천예고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한 문미선은 도영하여 영국 런던 왕립음악원 (Royal Academy of Music)에서 피아노과 학사과정(B.M)에 입학하여 다이애나 케틀러(Diana Ketler) 교수를 사사하며 재학 중 Worshipful Company of the Musicians Harold Samuel Bach Prize에서 1등을 수상하였으며, 런던 Paganini Festival에 초청되어 런던 Duke's Hall에서 연주하였고 청중들의 호평을 받으며 런던 무대에서도 성공적인 데뷔를 하였다. 또한, 런던 David Josefowitz Recital Hall, Museum Piano Gallary, St Sepulchre's Church 등에서 다양한 실내악 연주와 피아노 독주회를 통해 연주자의 입지를 굳혔다. 2007 년에는 미국 보스톤 뉴잉글랜드 콘서바토리(NEC)에서 1년간 교환학생으로 선발되어 베로니카 요쿰 (Veronica Jochum) 교수를 사사하였고 NEC 주최 메시앙 100주년 기념 연주회에 참가하여 Boston Jordan Hall에서 연주하였다.2009년 영국 왕립음악원 학사(B.M)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한 피아니스트 문미선은 미국으로 건너가 인디애나 주립대학교 사우스벤드 (Indiana University, South Bend)에서 실기 우수 장학금을 받고 피아노 연주할 석사과정에 (M.M) 입학하여 세계적인 거장 알렉산더 토라제 (Alexander Toradze) 교수에게 사사하였고 토라제 스튜디오 구성원으로서 활발히 연주 활동을 하였다.2011년 석사과정 졸업 연주회 때 심사위원의 만장일치로 최고연주자상(Performer Certificate)을 수상하였고 같은 해 IUSB Concerto competition 1등, Indianapolis Matinee Musicale Collegiate 피아노 콩쿠르에서 1등을 수상하여 장학금수여 및 인디애나폴리스에서 초청 연주를 하였다. 2011 년 9월 인디애나주립대학교에서 전액 장학금을 받고 최고 연주자과정 (Artist Diploma)에 입학하였고 재학 당시 사우스벤드 주립 오케스트라 (South Bend Symphony Orchestra)와 인디애나대학교 오케스트라 (IUSB Philharmonic) 와 함께 두 차례 협연하며 지역 신문에도 여러 차례 연주자로 이름을 알렸다. 인디애나대학교에서 전액 장학금을 수여하며 Artist Diploma 과정 중 2012년에는 제5회 앤드루 대학교주최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 2등을 수상하였다. 미국 Chautauqua Music Festival에 전액 장학생으로 초청되어 음악캠프 동안 활발한 실내악과 솔로 연주자로서의 기량을 펼쳤고 Chautauqua 피아노 콩쿠르에서 파이널리스트로 선발 및 미국 뉴욕 주의 Jamestown Mozart Club에 초청되어 피아노 독주회를 하기도 하였고 호평을 받으며 지역신문에 이름을 알렸다.미시간 주립대학교에서 전액 장학금을 받으며 박사과정에 입학한 문미선은 피아노과 조교(Graduate Assistant)로 활동을 하였고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손민수 교수에게 가르침을 받으며 “Analysis of Tchaikovsky’s The Seasons, Op. 37b with Emphasis on Techniques used to Portray Russian Ethnicity” 논문으로 박사학위 (D.M.A)를 취득하였다.미시간 주립대학교 박사과정 재학 중 MSU Wind Symphony Orchestra 피아니스트를 역임하며 Wharton Center for Performing Arts에서 많은 현대곡을 초연하였고, Musique 21 실내악 피아니스트 로 Schoenberg의 Pierrot Lunaire 연주와 다양한 현대 실내악곡의 연주 경험을 통해 현대 실내악 연주자로서 기반을다졌다. 또한, American Protege International competition 피아노 부문에서 1등을 수상, Detroit Symphony Orchestra 주최로 Detroit Symphony Hall에서 베토벤 소나타 전곡 마라톤 연주에 초청되어 연주하였다.손민수, Alexander Toradze, Diana Ketler, Veronica Jochum 교수를 사사하였으며 Leslie Howard, Emanuel Krasovsky, Boris Berman, Christopher Elton, Monique Duphil, Rebecca Penneys, Alexander Gavrilyuk, 변화경 교수 등 세계적인 음악가들의 마스터 클래스를 받으며 음악적 소양을 쌓았다.귀국 후 예술의전당 IBK 홀, 리사이틀홀, 세종체임버홀, 금호아트홀, 금호아트홀 연세, 통영국제음악당, 부평아트센터 등지에서 매해 피아노 독주와 실내악 연주자, 서경대학교 교수 박성자 비올라 독주회 반주자로 입지를 다지며 활발한 연주를 하고 있다.또한, 한국 피아노학회 교육분과 연구위원, 한국 피아노 교수법 학회 문화사업분과 연구위원으로 꾸준히 학회 활동을 하고 있으며 강의교재 연구 및 집필과 작곡 활동을 병행하며 새로운 분야에도 도전하고 있다.서울사이버대학교 피아노과 외래교수, 인천 예술영재교육원, 계원예고, 안양예고 출강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및 동대학원 외래교수, 서울교육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 음악영재원 외래교수, 선화예중을 출강하며 후학양성에 힘쓰고 있다.ProgramJ. Haydn Piano Sonata No. 59 in E-flat Major, Hob. XVI: 49 Allegro Adagio e cantabile Finale. Tempo di MenuettoF. Chopn Ballade No. 3 in A-flat Major, Op. 47IntermissionR. Schumann Waldszenen Op. 82 Eintritt  Jäger auf der Lauer  Einsame Blumen  Verrufene Stelle  Freundliche Landschaft  Herberge  Vogel als Prophet  Jagdlied  Abschied#피아노독주회 #피아노리사이틀 #문미선피아노독주회 #문미선피아노리사이틀 #피아노공연 #음악공연정보 #2025피아노독주회 #2025피아노리사이틀
피아니스트 김소연 초청 리사이틀(독주회)
예술의전당 리사이틀홀
피아니스트 김소연 초청 리사이틀기간2025-07-10(목)시간19:30장소리사이틀홀입장연령초등학생 이상관람시간(분)110가격R석 50,000원 / S석 30,000원주최(주)마스트미디어후원충남대학교문의02-541-3150 PROFILEPianist 김소연‘두뇌, 심장, 손의 우아하고 아름다운 조화’, ‘피아노를 위해 태어난 거장적 시인’으로 유럽 무대에서 평가받는 피아니스트 김소연은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테크닉과 귀족적인 기품을 지닌 연주로 성숙한 예술가로서 인정받고 있다. 서울에서 태어난 김소연은 비교적 어린 시절부터 영국, 프랑스, 독일에서 살면서 다양한 문화를 접하기 전, 예원학교를 수석으로 입학하였으며, 13세에 영국으로 건너가 예후디 메뉴인 음악원을 거쳐 런던 로열 아카데미 오브 뮤직(런던 왕립음악원)의 피아노 학사학위(BMus)를 한국인 최초로 최연소(16세) 입학하였다. 런던 왕립음악원에서 티칭 디플로마 취득, 최고연주자 과정 최우수 졸업, 석사학위(MMus) 조기 졸업 및 전체 점수 수석 졸업(런던대학교 석사학위 최우수 졸업)을 하였고 런던 길드홀 음대 대학원 실내악 과정을 졸업하였다. 그리고 프랑스로 건너가 파리 에꼴 노르말의 콩세르티스트 학위(Concertiste-Cycle de Perfectionnement)를 심사위원 만장일치 수석 졸업하고 독일 하노버 국립음대의 최고연주자 과정(Soloklasse-Konzertexamen)을 졸업하였다.김소연은 런던으로 건너가기 전 이미 국내에서 이화경향 콩쿠르 1위, 한국일보 콩쿠르 1위, 세계일보 콩쿠르 1위, 음연 콩쿠르 1위, 틴에이저 콩쿠르 특상으로 그 실력을 인정받았으며, 로도스 국제 콩쿠르 1위, 버밍엄 국제 콩쿠르 1위, 턴브리지웰스 국제 콩쿠르 1위 및 그랑프리, 칼드렉셀 콩쿠르 1위, 에피날 국제 콩쿠르 2위, 발렌시아 호세 이투르비 국제 콩쿠르 2위 및 현대음악 최고연주자상, 피네롤로 국제 콩쿠르 2위, 비엔나 베토벤 국제 콩쿠르 6위, 에틀링겐 국제 콩쿠르 3위, 파리 그랑프리 아니마토 국제 콩쿠르 3위, 스페인 작곡가 국제 콩쿠르 스페인 음악 최고연주자상 등 수많은 저명한 국제 콩쿠르에서 수상하였다. 런던 왕립음악원 재학 시에는 뛰어난 학업 성적을 인정받아 릴리안 데이비스 베토벤 프라이즈, 블라키스톤 프라이즈, 프란시스 얼 프라이즈, 레오나드 & 엘시 크로스 어워드, 엘시 프레이터 어워드, 모드 혼스비 어워드, 노라 내스미스 스칼라쉽을 받았으며, 영국 아우디, 런던 아치웨이 트러스트, 프랑스 파리 아르질 & 아소시에, 독일 슈타인그래버, 에르나 쾰러 재단, 니더작센주 영 피아니스트 후원회(최우수연주자상) 등에서 수여한 여러 장학금을 받았다.김소연은 괴팅겐 심포니 오케스트라, 프랑크푸르트 브란덴부르크 국립 오케스트라, 베를린 CPO, 베니게로데 체임버 오케스트라, 프리울리 베네치아 줄리아 심포니 오케스트라, 몽벨리아르 오케스트라, 발렌시아 오케스트라, 뉘른베르크 국립음대 심포니 오케스트라, 인천시향(신년음악회), DCMF 오케스트라, 실레지안 콰르텟 등과 협연하였고, 베를린 필하모니, 런던 사우스뱅크 센터, 런던 내셔널 포트레이트 갤러리, 런던 세인트 마틴 인 더 필즈, 런던 세인트 존스 스미스 스퀘어, 런던 듀크스 홀, 런던 데이비드 조세포비츠 리사이틀홀, 런던 아마릴리스 플레밍 콘서트홀, 런던 폴리시 인스티튜트 & 시코르스키 뮤지엄, 버밍엄 심포니 홀, 윈저 이튼 칼리지, 버킹엄 대학교 래드클리프 센터, 웨스트 서식스 굿우드 하우스, 하노버 NDR, 하노버 헤렌하우젠, 뉘른베르크 마이스터징어할레,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발렌시아 팔라우 델라 무지카, 빈 무지크페라인, 파리 살코르토, 독일 저먼 내셔널 뮤지엄, 네덜란드 내셔널 뮤지엄 오브 앤티쿼티 등에서 초청 독주회 및 연주활동을 가지며 세계를 무대로 연주해오고 있다.또한 메뉴인 페스티벌, 바이로이트 클라비어페스티벌, 베버제 페스티벌, 오버하우젠 페스티벌, 유로 뮤직 페스티벌(오프닝 리사이틀), 툴루즈 페스티벌, 하노버 국립음대 마이스터슈튁 시리즈, 네덜란드 월드 피아니스트 시리즈 등의 초청 독주회를 가졌고, 에든버러, 스코틀랜드, 독일, 스위스, 네덜란드, 스페인에서 리사이틀 투어를 가졌으며, 바이올리니스트 시모네 람스마 그리고 첼리스트 에밀 로브너와의 듀오, 빌헬름 켐프의 이탈리아 포지타노 베토벤 인터프리테이션 코스에 참여하였다. 그녀의 연주는 문화예술전문채널 아르떼, 영국 클래식 FM, 라디오 프랑스, 북독일 국영 라디오, 네덜란드 국영 라디오, 스페인 국영 라디오 및 TV에 여러 차례 방송되었다.김소연은 독일 E+S Rück의 후원으로 괴팅겐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차이코프스키의 피아노 협주곡 1번을 출반하였고, 슈만의 피아노 소나타 전곡과 브람스의 피아노를 위한 변주곡 전곡으로 가졌던 유럽 리사이틀 투어에서 유럽 언론의 극찬을 받은 바 있다. 그리고 아르떼의 후원으로 피아노 마스터클래스 및 바이올리니스트 시온 미나미와 듀오 리사이틀을 가졌으며, KT와 함께하는 토요일 오후의 클래식, 한국피아노듀오협회 스페셜콘서트, 국립중앙박물관 극장 ‘용’ 독주회, 바로크 페스티벌의 ‘바흐 리사이틀’, 2017년부터 매년 예술의전당에서의 독주회 그리고 2019년에는 예술의전당 IBK챔버홀에서의 두 차례 독주회, 모차르트 피아노 솔로 전곡 시리즈 등 유럽과 한국을 오가며 그녀의 격조 높은 음악성을 대범한 레퍼토리를 통해 관객들에게 잊을 수 없는 감동을 선사하고 있다.김소연은 공개채용을 통하여 2013년 1월부터 하노버 국립음대의 피아노 전공 강사(Hauptfach Klavier)로 재직하며 후학을 양성하였으며, 그녀의 제자들이 유럽의 여러 국제 콩쿠르에서 수상을 하며 교육자로서 탁월한 능력을 인정받았다. 그리고 하노버 국립음대 2017/2018 겨울학기와 2018 여름학기 교수 대행을 임한 바 있으며, 독일 뷔케부르크 국제 솔로이스츠 아카데미와 슈타데 국제 피아노 마스터클래스 & 페스티벌의 초청교수를 역임하였다. 국내에서 유수현, 국외에서 김정은, 니콜라이 데미덴코, 크리스토퍼 엘튼, 마리아 쿠르치오, 베른트 괴츠케를 사사한 김소연은 현재 충남대학교 예술대학 음악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PROGRAMLudwig van BeethovenPiano Sonata No. 6 in F Major, Op. 10, No. 2Ludwig van Beethoven6 Variations on an Original Theme in F Major, Op. 34Johannes BrahmsVariations on a Hungarian Song, Op. 21, No. 2Johannes BrahmsVariations and Fugue on a Theme by Handel, Op. 24#피아노독주회 #피아노리사이틀 #김소연독주회 #김소연리사이틀 #피아노공연정보 #음악공연정보 #2025피아노독주회 #2025피아노리사이틀
글쓰기